[최태근 도시칼럼 130]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상태바
[최태근 도시칼럼 130]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 시흥시민신문
  • 승인 2023.12.16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태근 교수
· 경영학 박사
· 정책분석평가사
· 칼럼리스트

미래 도시의 공간 변화 대응과 스마트 도시경영 모색

최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는 대부분 스마트 첨단도시경영을 지향하고 있다. 지자체의 특성과 도시의 역량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17개 광역단체와 226개 기초단체 대부분의 지자체가 추진 경영기법과 과정이 흡사하다. 이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모순점이나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는 지역과 도시별로 다른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표가 너무나도 비슷하다. 도시의 이름만 바꾸고 살펴보면 거의 같은 내용이라는 것이 문제이고, 추진하는 부서의 담당 부서와 단체장 입장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모순이다. 
 2016년 다보스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돌입 발표 이후, 기업은 물론 국가와 도시의 경영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대부분 도시에서 새롭고 바람직한 스마트 첨단도시경영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을 하였다. 그 결과 많은 도시에서 나타난 것은 거의 비슷한 방향을 보였고, 과거의 도시행정 서비스에서 획기적인 차별을 도출하지 못했다. 아직도 양적으로 물리적인 행정서비스 만족을 최고의 도시경영으로 생각하고 있다. 경영자의 전문성과 마인드 혁신 부재가 사실적인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와 모순이 연구 용역 결과에 그대로 반영된 듯하다. 경영자가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하고 있어 지속 가능한 스마트 첨단도시 형성과 발전에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해외 첨단 스마트도시 조성 사례

미국(Boston-Cambridge Innovation Districts), 영국(Manchester Smart City), 오스트리아(Aspern Smart City) 등의 도시가 특화된 좋은 사례이다. 도시별 다양한 형태의 미래 첨단도시 지구조성과 혁신적인 스마트 첨단도시화를 위한 생태계 인프라 구축의 자원 집중이 돋보인다. 특히 구성요소 간 연결성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모빌리티와 유연하고 개방적인 혁신공간의 제공에서 공유까지 타 도시와의 차별화가 특징이다.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의 명확한 목표 설정

 도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명확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전 세계의 도시에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설정하고 비정치적으로 지속해서 실천해 나가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래전부터 도시경영 전문가는 스마트 그린 첨단도시를 중·장기적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탄소중립 도시의 조건 확보 필요성에 따라 중·장기적 목표의 요구는 시대적 필요성이며 시민의 최대 니즈이다. 시민이 우선이고, 모든 기술과 인프라의 중심도 시민이 되어야 한다. 
 도시의 지역과 공간에서 민·관·학·연 모든 공동체가 하나의 공동 목표를 설정(community)하고, 명확하게 서로가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하여야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가 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인 시민의 적극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궁극적인 결과 도출의 목표는 시민(사용자)이다. 스스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범위 내에서 제공하는 명확한 테이터는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내부 문제 해결과 외부적인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지속 가능과 미래를 위한 기회 요인의 모색 도출에 사용된다. 이러한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하는 도시는 향후 도시의 지속 가능성, 미래 발전성, 시민 편리성 등의 평가에 대한 중요한 지표이며 척도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스마트 도시경영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경영정책과 전략 모색 과정에서 다양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21세기 초에 시작된 다학제적 유비쿼터스 시대를 거쳐 2016년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의 고도화 및 필요성과 활용이 이슈화된 이후, 초융합적 혁신클러스터 시대가 되었다. 급진전하는 기술 발전이 도시경영 측면에서 인구 감소와 지방의 지역소멸 방지를 위한 전략으로 얼마나 기여하고 작용될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중앙정부의 비정치적이고 합리적인 지리적 혁신지구(Innovation District) 결정과 해당 도시가 직접 참여하는 발전적 공간설계(Developmental Space Design)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 정부의 미래 지식집약 스마트 첨단화 기획(Planing)과 도시가 극복 가능한 출구 전략 계획(Plan)이 조합을 이루어야 한다. 국가의 탄력적 정책과 지방 도시의 적극적 전략이 발전 방향의 연계성에서 부합할 수 있는 혁신적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요소의 연구가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