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근 도시칼럼 114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상태바
[최태근 도시칼럼 114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 시흥시민신문
  • 승인 2023.07.01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태근 교수
· 경영학 박사
· 정책분석평가사
· 칼럼리스트

미래 스마트 시티 경영 전략의 지속성

- 궁극적 목표는 도시민의 지속 가능한 안전성과 편리성 -

스마트 도시의 경영 전략 요소 개발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기술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큰 방주가 필요한데 플랫폼이다. 스마트 시티 경영 전략 수립의 목표는 국가의 지속적인 신산업 육성 전략 실행을 인프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본 첨단 과학과 지속 발전으로 급변하는 신기술을 도입 활용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리적, 공간적 조건과 시간적으로 한계에 따라 필요한 기술을 도구로 도시민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목표이다. 
 
따라서 미래 도시에 대한 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자체가 우선 도시에 대한 총체적 계획 수립이다. 두 번째는 전문가의 도시 내 구역(區域)에 따른 중장기적 테마와 특색있는 구체적 콘텐츠 개발연구의 결과이고 세 번째는 기본적으로 시민의 의견 수립을 통해 수정하고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과정이다. 

그런데, 광역이나 기초단체에서 가끔 나타나는 모순과 문제가 있다. 수년간 여러 과정을 거쳐 완성된 도시 발전전략이 새로운 도시경영자에 의해 전면 폐쇄 또는 중단되는 사례가 있다. 이것이 중장기적 도시전략 수립과 결정에 위협적인 위험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가장 높은 리스크로 평가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제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방의회의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장기적인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내·외부적 요인과 시대적 도시환경 변화에 따라 다소 경미한 수정(amend)은 불가피하다는 것을 예측하고 결정하고 있다. 
 
모순된 사례로 약 7Km 신설 도로를 4년간 500억 원으로 착공하여 약 3Km 공사 중, 도시경영자의 교체로 타절 준공은 다행히 아니었지만, 4년간 공사가 거의 중단되었다가 다시 3년에 걸쳐 총 소요기간 10년의 공사로 완공되었다. 공사비 총예산은 1천200억 원이 소요되었다. 당초 계획보다 추가된 것은 6년의 기간과 700억 원의 예산이다. 이 도시의 사회적 비용, 편익, 복구비용 등 기타 유·무형적 피해예산이 얼마이고, 시민 불편에 대한 민원 발생을 기초단체가 어떻게 극복했는지 매우 궁금하다.
물론 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사유는 행정적으로 설명이 타당하고 충분하다. 하지만, 스마트 도시경영 측면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선출직이었던 도시경영자는 그 자리에서 떠났고, 선출했던 시민과 도시경제의 구성원은 그 도시에 머무르고 있을 것이다. 
 
세계 경제 패러다임이 변화되었다. 근본적인 변화는 짧아지는 경제 사이클이 도시경영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최근 도시의 경제 침체를 예측하는 경제학자들의 인터뷰를 쉽게 볼 수 있다. 코로나 일상(with Corona) 시대와 우크라이나 사태가 도시경제 위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문에 관한 해결 방안 연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도시경제적 측면에서 지역의 기업은 지금보다 더 경영 악화에 직면할 노동성, 생산성, 경제성에 따라 사업의 불확실성에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의 정도와 속도는 더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예측하여 현실과 미래의 가상이 초 융합된 4차 산업혁명 기술도입이 스마트시티의 경영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가정신에 의한 민간의 기술이 클라우드를 통해 공공에 공유하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빅테이터화 하고, 상호 ESG 경영으로 도시의 생산성 향상 정도를 점차 높인다면 도시경제의 인프라가 된다고 생각된다. 

도시민이 사용하고 있고, 지금보다 더 필요로 하는 것은 미래의 스마트이다. 도시환경의 변화 중 가장 큰 니즈는 ‘미래 스마트’라고 하는 기술인 것이다. 따라서 시민 욕구의 대응방안으로 기업은 스마트 기술을 개발하고, 공공은 그러한 기술을 확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안으로 본다. 시민의 안전과 편리는 스마트 서비스이다. 곧 스마트 시티를 요구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도시는 4차 산업혁명의 초 융합적인 기술 접목으로 제조공장을 비롯한 도시 외부의 건설현장, 교통, 도로(인도, 차도), 교량, 터널, 노후건물 등의 균열과 붕괴 등에 대해 안전을 위한 기술 장치와 이를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이 시급하다.
최근 지자체의 일반적 행정에 따라 사고 예방의 한계가 나타나는 사례가 빈번하다. 따라서 시민의 안전을 위한 적극적인 스마트 행정이 필요하며 요구되는 시기이다. 

또한, 생활과 복지는 지자체의 특성에 맞는 기술개발을 위해 민간 기업에 투자할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지자체의 예산 투입으로 민간에 기술 연구개발 서비스를 창출하는 경영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차 문제이다. 도시 내에서도 구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어 골목 불법 주차와 주차 공간 확보는 동전의 양면이고 해결이 가장 어렵다. 그러나 각 동의 주민자치와 유관 단체 활용 모색이 가능하다. 

결과는 첫째, 주민 스스로가 스마트시티 경영 전략에 참여한다. 둘째, 주민 스스로가 지역의 안전과 편리에 대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셋째, 지역 문제를 주민 스스로가 극복하는 주민자치 도시경영을 완성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