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근 도시칼럼 105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상태바
[최태근 도시칼럼 105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 시흥시민신문
  • 승인 2023.04.08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태근 교수
· 경영학 박사
· 정책분석평가사
· 칼럼리스트

지속 가능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 방안

최근 전 세계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는 미래형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첨단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이다. 물론 국내 모든 17개 광역단체와 226개 기초단체에서도 적극적으로 각 지자체의 조건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 일부 대도시에서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안전도시 완성도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프라 구축에 많은 소요 예산이 필요하여 어려움은 있지만,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를 위해서는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없는 불가피한 정책임을 인식하고 진행하고 있다. 도시안전망 인프라를 통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사업은 도시에서 가장 필요한 우선 사업이기 때문이다.

스마트 안전도시 통합플랫폼 구축의 목적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있다. 목표는 각종 범죄와 재난 또는 재해의 예방과 사고 발생에는 즉시 여러 관계 기관(소방, 경찰, 기타)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여 신속한 대응으로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시스템이다.

우리나라는 IT 강국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이를 초융합적 접목이 필요하다. 도시의 구성원이 젊은 도시일수록 스마트 안전도시의 필요성과 욕구는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해외 사례는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다양한 기술 도입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서 가능한 인프라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도시에서 일어나는 재난사고 중 사전에 예측되거나 예방할 수 있었던 사례는 많다. 미래의 재난관리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도입이다. 우리나라 지자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행사 비용은 유형의 효과이고, 시민의 생명을 위한 수백억 원의 예산 편성은 불요불급(不要不急)한 무형의 효과로 생각하는 듯하다. 이러한 정책은 미래가 없는 도시이다.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의 시급성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에서는 1970년 도시발전 과정에 빠른 공동주택 건립을 목적으로 추진된 와우아파트가 준공 4개월 만에 붕괴하여 34명이 사망하는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이후 1994년, 1995년에는 S 대교와 백화점의 붕괴사고에 이어 1996년 당산철교 등은 대형 참사가 예측되는 부실공사가 발생의 원인이었다. 
이러한 사고 발생으로 안전에 관한 제도와 시스템을 강도 높게 마련했으나 사고는 지속되었다. 

2016년 첨단 산업 기술 도입이 시작된 4차 산업혁명 이후에도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 및 인구 90만 명이 넘는 초대형 기초단체 도시에서 스마트 첨단 안전기술로 예방할 수 있었으나, 예산 편성 중 후순위가 되어 안타까운 시민의 생명을 구하지 못한 듯하다. 
2018년 용산 4층 건물 붕괴, 광주광역시 학동, 화정동 사건과 최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교 사례에서 도출된 중요한 것은 아날로그식 안전점검 방식에 많은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사고는 도시 안전에 대한 사전 예방을 위한 행정적 정책 부재이고, 도시 경영자의 안전 불감증이라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목적인 자치단체나 기업가 정신으로 사회 구성원과 함께 성장 발전하는 기업들도 ‘중대재해법’이 강조된 이후에 사고가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ESG 경영은 ‘스마트 도시안전기술’ 도입 필요성과 시급성을 경영에 반영하여 구축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지역 특성과 공간을 고려한 스마트 안전서비스 구축

30여 년 전에 개발된 1기 신도시에서의 사고는 충격적이다. 그러나 전국의 지자체는 대부분 40~50년 또는 그 이상 된 구도심 지역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는 오랜 기간 지역 특성에 따라 지리적 공간적 측면에서 도시계획이 불가능한 곳이 너무나 많다. 지방은 한국 동란 휴전(1953년) 이후, 무분별하게 건립된 고밀도 시민의 개인 사유 건축물과 국가 또는 지자체의 공공사용 건축물, 교량 등을 비롯한 기타 여러 공공영조물(公共營造物)이 안전의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도시의 안전을 위해서는 스마트안전도시 정책을 통해 고도화를 지향하여 AICT((Artificial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Sensor(감지 신호), 기타 다양한 기술로 ‘도시안전통합플랫폼’ 구축이 필수이고 시급하다.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이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안전도시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요건이 있다. 총괄 운영조직 선정과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 도입을 위한 전문성 있는 인적 자원 확보에 의한 T/F팀 구성이 우선되어야 하고 중요하다. 그리고 시민의 요구 분석을 통해 기술운영(Technology management)을 위한 전략 및 기본방향 설정이 첫 번째이다. 둘째,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 인프라를 이용한 기술적 안전관리의 목표설정이다. 셋째, 통합플랫폼 구축으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 및 공유이다. 이러한 기술 활용은 미래의 지속적 안전도시 구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은 처음 시작과 여러 과정을 거쳐 현재와 미래의 도시 구성원이 요구하는 지속성과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품질 좋은 도시를 위해 지자체의 경영자와 의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총괄 운영조직이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행정업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생태계 조성이 역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