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근 도시칼럼㊾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상태바
[최태근 도시칼럼㊾ ]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 시흥시민신문
  • 승인 2021.08.30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 가능한 도시안전 경영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재난안전플랫폼 시스템 -

 

최태근 교수
· 경영학 박사
· 정책분석평가사
· 칼럼리스트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사람에게 필요한 기술적 요인을 다양하게 확보하여 공유하며 활용하는 시대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지금 지구촌은 팬데믹 현상으로 이 모든 것이 단절되어 있다. 외부적 측면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내부적(국내)으로 다른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자연 재해 발생 현황은 환경 기후 변화로 인해 전세계가 피해를 겪고 있다.

도시의 안전(건설, 교통, 침수) 재해로 매우 심각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 현실을 살펴보면 중앙 정부의 정책이 기초단체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있어 다소 어렵고 늦다.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도시안전 경영 측면에서 지자체의 ‘그린정책 대안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실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속되는 산업혁명에 의한 정보통신의 기술 발전으로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람, 사물과 사물의 네트워크를 넘어서고 있다. 사람이 할 수 없는 일들을 가능하게 해 주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스마트 도시는 지역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테이터화 하여 공유하는 것이 기본적 기술이다. 그 중에 특히 안전을 위한 정보화의 데이터 기술은 최근 상상을 넘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이 건설안전을 중요시 하면서 ICT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산업현장의 산업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날로그 시대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oT, AI 등을 이용한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속도를 내고 있다.

악천후와 같은 환경이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사람이 직접 통제 불가능한 장소에 사람(안전 요원)이 배치돼 있어도 중앙통제(안전 관리자) 상황실의 확인이 불가능 한 것을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적용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이로 인한 효과는 거시적으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미시적으로는 기초지방단체의 시민안전과 기업에서 부담하는 재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스마트안전 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공간적으로 기초단체의 지역 건설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막대한 행정적 물질적 손실이 일어났던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 도시경영을 지향하는 적극 행정이 필요하다. 중앙 정부의 행정력과 기업의 기술투자 그리고 해당 지자체의 스마트 도시경영(행정) 등이 공유하고 협력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합리적 도시안전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회요인의 확보이기 때문이다. 즉 정치·행정·기술투자가 사회·경제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주민 삶의 질 향상이 되며 안전하고 행복한 스마트 도시화가 되는 합리적 방향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스마트 도시 인프라가 시민을 위해서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인재에 가까운 건설안전 사고에 시민은 불안해하고 있다. 시민과 사회적 요구는 기술 혁신에 따른 ‘효율적 활용 정책 대안’이다. 최근 시민 의식은 변화되었다. 

지자체가 효과적인 스마트 도시경영 혁신과 개선을 위한 경영활동의 범위를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안전욕구를 충족할 정책 요구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