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근 도시칼럼 ㊲]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상태바
[최태근 도시칼럼 ㊲] 스마트 그린 시티와 도시경영 (Smart Green City and Urban Management)
  • 시흥시민신문
  • 승인 2021.04.17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시티를 ‘스마트그린시티’로 정책 전환해야할 이유
· 최태근교수(경영학박사)· 정책분석평가사· 칼럼니스트
· 최태근교수(경영학박사)
· 정책분석평가사
​​​​​​​· 칼럼니스트

1. 유 시티(U-City) 
 
 유 시티는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 조성이다. 정보통신 시설을 통한 도시 생활의 편의 제공이 삶의 질 향상으로 변화되어 도시의 경쟁력이 높아진다. 체계적인 도시 관리를 통해 안전과 복지 향상이 목적이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신산업 창출이 지속 가능하다. 도시 전체의 제반 기능에서는 효율성 확대를 통해 혁신적으로 차세대 정보화 도시 조성이 궁극적 목표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부터 추진되었고 2008년에는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돌아보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비쿼터스(Ubiquitous) 인프라를 조성하는 시설물들이 건설되었다. 사람이 편하게 언제 어디서나 공간(장소)과 시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다는 의미의 라틴어인데 뜻은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것이다. 너무나도 편리한 기술 개발 발전이 지속하여 왔다.
 
 ‘서울 디지털 포럼 2004’에서 디지털의 발전이 인간 스스로 역할과 책임감을 확대하고(Empowerment) 만족감을 얻게 될 것이라고 했던 MIT 대학교수인 니콜라스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 미디어연구소 소장이 1974년 “어디든 존재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그 후 실제 사용된 용어의 계기는 1988년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이 세상에 나오게 되어서다. 미국 제록스(사무용 기기 제조회사)사의 팰러앨토연구소(PARC), 마크 와이저(Mark Weiser) 박사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 시티의 한계가 도출되었고 도시를 더 똑똑하게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되었다.   
 
2. 스마트 시티(Smart City) 

 스마트 시티는 과거 유 시티(u-city)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유 시티는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의 공공정책으로 주도하고 물리적으로 정보통신 시설이 내장된 인프라 구축을 우선시하였다. 
 그러나 스마트 시티는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더 높은 기술의 인프라를 도출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복잡한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의 역량이 충분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는 환경을 구축하려고 한다.
 또한 사물 인터넷(IoT)과 인공 지능(AI) 등 다학제적으로 많은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가 현재 갖고 있거나 미래에 구축할 수 있는 가상적 인프라까지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통해 시민에게 더욱 안전한 삶의 질 향상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도시를 추구하고 있다.  
 기술적 플랫폼으로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 빅데이터 솔루션을 비롯하여 계속되는 기술 발전으로 나타나는 최신의 정보통신기술(ICT) 등 다양한 기술을 융합하고 있다.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안전, 도로, 교통, 항만, 수자원, 전기, 에너지, 교육, 문화 등 그 외 많은 도시 인프라의 공공 데이터를 수집·활용 한다.   

3. 스마트 그린 시티(Smart Green City) 

 도시는 지역 특성을 활용하여 필요한 합리적 목표의 결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한 도시계획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우선시 생각하여야 한다. 최근 스마트 그린 시티 기술 개발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1년에 수많은 다양 각색의 새로운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 그린 시티는 스마트 시티에 그린(환경, 녹색, 공원 등)을 포함한 기술 인프라다. 시민에게 필요한 환경적 조성을 강조하고 있다. 도시계획과 정책 결정자는 개발보다 환경의 보존과 형성이 더 중요함을 깨달아야 한다. 환경 문제의 복구비용(Sunk Cost)은 상상하지 못할 금액과 시간이 소요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